韓 경제에도 타격…하반기 경제 빨간불

 

중국 경제가 경기 침체 속 물가가 하락하는 이른바 ‘디플레이션’에 빠져들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세계 경제에 미칠 악영향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미국과 함께 이른바 G2 경제 대국인 ‘세계의 시장’ 중국이 엔데믹 이후 세계 경제에 활력을 줄 것이라는 기대감이 줄어들면서 대중 무역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경제 회복에도 적지 않은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7월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0.3% 하락했다고 지난 9일 밝혔다. 중국의 월별 CPI가 감소세로 돌아선 것은 지난 2021년 2월(-0.2%) 이후 2년 5개월 만이다. 중국의 월간 CPI는 올 1월 2.1%를 기록한 뒤 3월부터 4개월 연속 0%대에 머물렀고, 6월엔 0%까지 떨어진 바 있다.

CPI와 함께 대표적 물가관리 지표로 CPI의 선행지표로 여겨지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4.4%로 집계돼 10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갔다. 중국 CPI와 PPI 상승률이 동반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지난 2020년 11월 이후 처음이다.

중국 정부는 올 들어 각종 내수 진작책과 민간 투자 활성화 대책 등을 쏟아냈지만 침체된 소비 심리를 되살리는데는 역부족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해 7월의 물가 상승 수준이 높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일시적 현상”이라며 “항후 물가가 점진적으로 상승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블룸버그통신은 “지난 2021년 초 CPI 하락이 코로나19로 인해 일시적이었던 것과 달리 최근 물가 하락은 수요 감소, 부동산 시장 침체 같은 장기적인 요인에 의한 것으로 더 심각하다”면서 “중국이 사실상 디플레이션에 빠졌다”고 진단했다.

특히 물가 하락은 물론이고 수출, 제조, 고용 등 경제 전반의 악화 현상이 뚜렷해 이른바 디플레이션 공포가 점차 고개를 들고 있다.

지난 8일 중국 해관총서(관세청)에 따르면 7월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5% 줄었다. 감소 폭 또한 코로나19 초기였던 2020년 1∼2월(-17.2%) 이후 41개월 만의 최저치다. 7월 수입 역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2.4% 감소했다.

7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도 49.3으로 기준점 50을 하회했다. 6월 중국의 16∼24세 청년실업률은 21.3%로 관련 통계 작성 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제조, 소비, 수출, 고용 등이 모두 부진함에 따라 경기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이다. 실제 중국의 지난 2분기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상하이 봉쇄 등에 따른 기저 효과에도 전년 동기 대비 6.3%에 그치며 시장 전망치(7.1%)에 크게 못 미쳤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최근 중국 상황이 지난 1980년대 부동산 거품이 꺼진 후 일본과 비슷하다”며 ‘일본식 장기 불황’을 겪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그러나 워싱턴포스트(WP)는 지난 10일(현지 시간) 보도를 통해 “중국의 디플레이션의 영향이 ‘잃어버린 30년’을 겪은 ‘일본식 장기 불황’의 영향보다 더 클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2023년의 중국은 30년 전의 일본과 다르며 중국의 인구는 14억으로 일본 인구의 10배가 넘는다”면서 그 영향이 더 충격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미 뉴욕타임스(NYT)의 칼럼니스트 폴 크루그먼도 최근 칼럼에서 ‘중국이 일본의 뒤를 이을 것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그렇지 않을 것이며, 중국의 문제는 훨씬 더 나빠질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았다.

이처럼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중국 경제는 이미 우리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7월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4%로 하향 조정하면서 중국 경기 회복에 따른 파급 효과가 예상보다 약하다는 점을 꼽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8월 경제동향’에서 중국 경기 회복 지연을 한국 경제의 하방 위험으로 지적했다.

한국은행은 하반기에는 중국 내수 회복세가 점차 강화될 것으로 평가하면서도 저물가 상황이 경제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은 최근 발표한 보고서 ‘2023년 하반기 중국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에서 “현재로선 중국 경제가 디플레이션에 진입할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되지만 저물가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경제 주체들의 기대 약화로 이어져 소비 및 투자 등 내수 회복이 더욱 지연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파이브에코(FIVE ECO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중국 #CPI